APRI 한우 사양표준 그래프
DG 그래프
APRI 한우사양표준 클래스에 가입하세요.
한우사양표준
한국가축사양표준은 가축의 종류, 성별, 성장단계, 사육 목적 및 환경에 따른 일일 영양소 요구량을 제시하는 과학적 기준입니다. 이는 사료비 절감과 고품질 축산물 생산을 위한 필수 정보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 사료 원료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특히 중요합니다.
세계적으로 자국의 사양표준을 보유한 국가는 약 11개국으로, 미국(1944년), 영국(1963년) 등 축산 선진국들은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2002년 국립축산과학원 주관으로 한우, 젖소, 돼지, 가금에 대한 사양표준을 제정했으며,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가 5년마다 개정하고 있습니다.
이번 4차 개정은 변화된 사육환경 반영과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지속 가능한 축산업 구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주요 축종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반영했으며, 사육 마릿수가 2010년 약 24만 마리에서 2020년 약 50만 마리로 증가한 염소에 대한 사양표준도 새롭게 제정하였습니다.
한우 사양표준 클래스 목차
1
제 1 장 한우 산업과 사양환경 변화
1.2. 한우 사양표준과 탄소중립 이행
1.3. 탄소중립과 질소배출 저감
1.4. 탄소중립과 비육기간 단축
1.5. 동물복지 도입과 전망
2
제 2 장 영양소 섭취와 이용
2.1. 건물
2.2. 에너지
2.3. 단백질
2.4. 광물질
2.5. 비타민
3
제 3 장 성장단계별 사양관리
3.1. 송아지와 번식우 사양관리
3.2. 거세 육성우 사양관리
3.3. 거세 비육 사양관리
3.4. 암소 비육 사양관리
4
제 4 장 계절별 사양관리
4.1. 여름철 영양소 요구량과 사양관리
4.2. 겨울철 영양소 요구량과 사양관리
5
제 5 장 사료자원의 효율 제고
5.1. 급여사료의 형태
5.2. 사료급여 방식의 차이
5.3. 사료 내 섬유소의 중요성과 부산물의 사료 이용
5.4. 에너지 자원의 이용
5.5. 사료 내 단백질 종류에 따른 이용효율
5.6. 급여사료와 육질간의 상관관계
6
제 6 장 사료의 안전성 및 소화기 질병
6.1. 사료관리
6.2. 소화기 질병―대사장해 및 중독증
6.3. 첨가제
7
제 7 장 영양소요구량과 회귀식
7.1. 영양소 요구량(표)
7.2. 영양소요구량 회귀식
8
제 8 장 사양표준 프로그램 사용법
8.1. 프로그램 안내
8.2. 프로그램 설치
8.3. 프로그램 실행 및 이용방법
8.4. 원료사료의 특성 및 사용시 주의사항
주요 용어